보육교육 | 가정에서 장애아 지도를 하는데 필요한 원칙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0-12-24 00:00 조회7,864회 댓글0건본문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지도하는 것은 결코 쉬운 것이 아니다. 특히 이들은 이해력이 부족하고 끊임없이 문제를 일으키며 한 가지 과제를 익숙하게 하는데 비장애아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런 상황에서 가정에서의 장애아 지도에는 다음 몇 가지 원칙이 요구된다.
⑴ 열성으로 지도하면 반드시 아동이 자신의 능력한계 내에서 나아진다는 믿음과 그들 능력에는 한계가 있음도 함께 인정하고 받아들일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한다.
⑵ 자녀의 나이가 어릴수록 지도에 유리하다.
온 가족이 합심해서 서로 이해하고 대화하며 돕는 것이 필요하며 심리적, 육체적으로 힘을 모아야 한다.
⑷ 가족 간의 지도방법에 또는 각 지도 상황들에 일괄성을 가짐으로 자녀에게 혼돈을 주지 않도록 해야한다.
⑸ 부모가 아동에게 모범이 되는 행동을 해야 자녀가 그 행동을 보고 좋은 습관을 익힐 수 있다.
⑹ 자녀의 태도를 지도방법을 계획하기 전에 그들의 욕구, 행동습관, 장점, 단점, 성격 등에 관해 면밀히 관찰해야 하며 지도방법에 대한 계획은 자녀중심으로 능력, 욕구, 성격을 충분히 반영시켜 모색되어야한다.
⑺ 말을 못 알아들을 것이라고 생각한 나머지 자녀가 있는 곳에서 쉽게 그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말을 무책임하게 해서는 안 된다.
⑻ 매일 장애 자녀만을 위해 일정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 더불어 배우자나 정상인 자녀에게도 관심과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한다.
⑼ 자신과 자녀에게 알맞은 적절한 지도방법을 선택했으면 마음을 즐겁게 가지고 응해야 지도효과도 높고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① 무절제한 자유는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이 무슨 일을 하고 안하고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② 너무 심한 규제는 피해야 하며 쓸데없이 남발하는 칭찬도 금물이다.
⑽ 작고 보잘 것 없는 일이라 해도 자녀로 하여금 적극 응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 줘서 자존심을 높이고 긍정적인 자화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해준다.
⑾ 위의 10가지 원칙보다도 우선하는 것은 역시 “사랑”임을 강조한다. 누군가를 사랑하면 어떠한 이론이나 원칙을 넘어서는 힘이 생기며 그것이 자녀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능력을 키워주는 것에 무리하지 않는 좋은 아동 지도법을 가지도록 해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